
18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이랜드월드는 오는 19일 총 600억원 규모의 회사채 발행을 위한 수요예측을 진행한다. 만기는 1.5년물(600억원)으로 구성됐다. 수요예측 결과에 따라 최대 1000억원까지 증액 발행한다.
아울러 희망금리밴드는 만기별 개별민평금리 평균에 30~+30bp(1bp=0.01%p)를 가산해 제시했다. 대표 주관사는 KB증권이 맡았으며, 인수단은 iM증권과 사모사채 공모매입 프로그램에 따라 산은이 참여했다. 이번 이랜드월드가 발행하는 회사채 자금 600억원은 전액 채무상환자금으로 사용될 예정이다.
◆ 산업은행 등에 다시 올라탄 이랜드월드
이랜드월드는 지난 2023년 8월 발행한 600억원을 상환하기 위해 회사채 시장에 문을 두드렸다. 해당 회사채 이자율은 7.80%다. 이번에 발행하는 회사채 금리는 개별민평 수익률의 산술평균 5.971%에 가산금리 +30bp를 더할 경우 6.271%에 해당된다. 금리를 내려 차입 구조 개선을 위한 시도로 풀이된다.
특히 이번 발행에 있어 산은은 이랜드월드 회사채 400억원을 인수할 계획이다. 나머지 150억원은 KB증권이, 50억원은 iM증권이 부담한다.
앞서 이랜드월드는 지난 2023년에도 산은의 저신용 회사채 매입 프로그램을 통해 1000억원을 시장에서 조달한 바 있다. 당시 산은은 이랜드월드 발행물 1.5년과 2년물을 각각 420억원, 280억원을 인수했다. 이는 전체 모집 물량의 70%에 달한다. 이번의 경우 산은은 이랜드월드 전체 모집 물량에 66.67%를 부담한다.
◆ 이랜드월드, 신용등급 하향 트리거 일부 충족
신용등급이 BBB급 비우량채들도 올해 수요예측에서 잇달아 흥행에 성공하고 있다. 올해 초 흥행에 성공했던 △HL D&I 한라 △두산 △한진은 모두 BBB+이다. 그러나 이랜드월드 신용등급은 'BBB0'다. 신용등급을 놓고 이들 기업과 비교 불가할 뿐만 아니라, 산은을 등에 업었음에도 흥행을 장담할 수 없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중론이다.
과거부터 이랜드월드는 회사채 시장에서 완판에 어려움을 겪어왔다. 지난 2021년에는 회사채 수요예측에 나섰지만 모집액에 못 미치는 주문을 모았다. 지난 2015년에는 수요예측 참여 금액이 '0'을 기록하는 굴욕을 당기기도 했다.
이에 더해 이랜드월드 신용등급 및 전망 스플릿은 8년째 그대로인 상황. 나이스신용평가(이하 나신평)와 한국기업평가(한기평)는 이랜드월드 신용등급을 'BBB0, 안정적', 한국신용평가(한신평)는 'BBB0, 부정적'으로 평가했다. 신용등급 스플릿은 신용평가사마다 평가 기준과 모델, 수집 정보가 다를 때 발생할 수도 있지만 해당 기업의 산업 전망과 긍정·부정적 의견이 맞설 때 발생한다.
더욱이 이랜드월드는 신용등급 하락 기준마저 일부 충족하고 있어 투자자들에게 매력적으로 다가가기 힘들다는 평가도 따른다. 지난 13일 한기평은 부채비율이 200%를 초과할 경우 신용도에 부정적인 영향이 미칠 것이라고 내다봤다. 지난해 9월 기준 이랜드월드의 부채비율은 211.6%에 해당된다.
나신평에서도 이랜드월드의 총차입금/EBITDA(배) 초과 수준이 지속될 경우, 신용등급이 하향 조정 될 수 있다고 제시했다. 지난 2020년 말 이랜드월드 총차입금/EBITDA(배)는 16.0%로 지난해 3분기 8.7%로 하락하긴 했지만, 여전히 하락 기준을 일부를 충족하고 있다.
예컨대 이랜드월드는 지난 2021년부터 지난해 하반기까지 △마곡 R&D센터 △중국 물류센터 2기 등 높은 자본적 지출(CAPEX) 부담을 안고 있다. 또한 이랜드파크 해외 자회사가 발행한 영구 전환사채 상환(1300억원)으로 총차입금이 2021년 말 4조6873억원에서 지난해 9월말 5조 430억원으로 증가했다. 이랜드월드가 과중한 차입부담을 안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IB업계 관계자는 "이랜드월드 신용등급은 비우량채라는 점에서 산은 도움이 없이는 자금 조달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며 "그나마 물량이 크지 않기 때문에 소화는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부채비율 등 자금 조달이 급한 이랜드월드 입장에선 산은을 등에 업는 게 가장 좋은 대안"이라고 덧붙였다.
임이랑 빅데이터뉴스 기자 lim625@thebigdata.co.kr
<저작권자 © 빅데이터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