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앤리서치](https://cgeimage.commutil.kr/phpwas/restmb_allidxmake.php?pp=002&idx=3&simg=202502061715350968796085a06ef4917338228.jpg&nmt=23)
여론조사기관인 데이터앤리서치는 본지 의뢰로 뉴스·커뮤니티·블로그·카페·X(옛 트위터)·인스타그램·유튜브·페이스북·카카오스토리·지식인·기업/단체·정부/공공 등 12개 채널 23만 개 사이트를 대상으로 지난해 12월 1일부터 올해 1월 31일까지 국내 주요 숙취해소제 8개 브랜드에 대해 관련 게시물 수(관심도=포스팅 수)를 빅데이터 분석했다고 밝혔다.
조사 대상은 임의 선정했으며 정보량 순으로 △상쾌환 △레디큐 △여명808 △알디콤 △모닝케어 △깨수깡 △컨디션 △헛개파워 등이다.
이번 조사에서 상쾌환이 총 2816건의 온라인 포스팅 수를 기록하며 압도적인 관심도 1위를 차지했다.
네이버 블로그의 한 유저는 "숙취해소 음료"라는 제목으로, "상쾌환 구매했어요, 연말연시가 다가오면서 맨날 술이어서 몸을 위해 숙취해소 음료를 마셔요"라고 말했다. 그는 "삼양사 상쾌환은 숙취해소 효과를 위해 5년간 음료형 숙취해소 제품 개발에 매진했다고"라며 정보를 공유하기도 했다.
이어 1월 네이버 카페의 한 회원은 "레전드 숙취 진짜"라는 제목으로, "와 이거 상쾌환 안먹고 잤으면 진짜 이틀은 갔을듯"이라며 생생한 섭취 후기를 남겼다.
같은 달 온라인 커뮤니티의 한 유저는 "복숭아맛 숙취해소, 상쾌환 스틱 제로 출시"라는 제목으로, "맛있고 건강한 숙취해소의 새로운 선택지, 바로 상쾌환 스틱 제로 출시 소식을 들고왔습니다"라며 신상품 출시에 대한 내용을 포스팅 하기도 했다.
분석 기간 한독(002390)의 숙취해소제 레디큐는 752건의 포스팅 수로 2위를 기록했다.
지난해 12월 네이버 블로그의 한 작성자는 "편의점 숙취해소 음료 BEST 5"라는 제목으로 자신의 주관적 견해가 담긴 숙취해소제들을 소개했다. 이 작성자는 "음주 전후로 섭취할 숙취해소제를 편의점에서 사려고 보니 종류도 많고 효과도 모두 달라보여 어떤 것을 사야할지 고민이 됩니다"라며 5가지 숙취해소제를 소개했고. 이 중 레디큐는 두 번째 순서에 등장했다.
또 다른 블로그에서는 "한독 패밀리세일"이라는 제목으로, 지난 1월 한독제약이 실시한 패밀리세일 홍보 포스터를 공유하며 "숙취해소에 좋은 레디큐와 건강기능식품 등 있네요"라고 할인 정보를 공유하는 모습도 포착됐다.
발명특허기업 주식회사 그래미의 여명808은 지난 연말연시 722건의 정보량으로 3위를 차지했다.
여명808에 관련해 나타난 게시물을 살펴본 결과, 지난 1월 식약처가 여명808에 대해 '숙취해소제'란 문구 표기를 금지 처분한 것에 대한 포스팅과 언론 뉴스가 상당 수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숙취해소제'란 문구는 숙취해소 관련 인체적용시험 실증을 거쳐야 표기할 수 있지만, 여명이 해당 실증자료를 갖추지 않았고 자율심의기구 심사도 받지 않은 것으로 확인됨에 따라 숙취해소 또는 유사한 표현의 광고를 사용할 수 없게 됐다는 내용이다.
이어 숙취 토털케어 브랜드 알디콤이 720건으로 4위를 기록했으며 동아제약 숙취해소제 모닝케어가 719건으로 5위를 차지했다.
롯데칠성음료(005300) 숙취 해소 음료 깨수깡은 456건의 포스팅 수로 뒤를 이었다.
HK이노엔(195940)의 숙취해소제 브랜드 컨디션은 183건의 정보량으로 7위를 기록했다.
지난해 12월부터 올해 1월 말까지 두달간 광동제약(009290) 헛개파워의 온라인 정보량은 104건으로 집계되며 8위를 차지했다.
데이터앤리서치 관계자는 "회식, 가족 모임 등으로 술자리가 잦은 연말연시, 국내 8개 숙취해소제 브랜드 중 삼양사의 상쾌환이 압도적인 차이로 온라인 관심도 1위를 차지했다"고 밝혔다.
최효경 빅데이터뉴스 기자 chk@thebigdata.co.kr
<저작권자 © 빅데이터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