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일 대한석유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SK에너지 △GS칼텍스 △에쓰오일 △HD현대오일뱅크 등 국내 정유사가 수출한 휘발유가 1억1189만 배럴, 경유는 2억166만 배럴로 집계됐다. 이는 해당 통계를 작성한 1992년 이후 최대치다.
특히 고부가 제품인 항공유 수출량도 전년 대비 3% 증가한 8826만 배럴에 달했다. 이에 전체 석유제품 수출도 전년보다 4.8% 늘어난 4억9045만 배럴로 지난 2018년에 이어 역대 2위를 기록했다.
지난해 우리나라가 수입한 원유 52.5%를 정제해 수출한 셈으로, 원유 도입량 중 수출 비중도 최고치였다. 다만 수출량 증가에도 불구하고 석유제품 수출액은 국제유가 하락 여파로 전년보다 2.9% 줄어든 451억7000만달러(약 61조6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제품별 수출량 비중은 경유가 41.1%로 가장 높았다. 뒤를 이어 △휘발유 22.8% △항공유 18% △나프타 8.1% 순이었다. 이 중 휘발유 수출은 전년보다 12.1% 늘어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였으며, 대일본 수출량이 33% 급증했다.
국가벌 수출량은 △호주 18% △일본 12.9% △싱가포르 12.5% △미국 8.8% △중국 8.7% 순이었다.
석유협회는 "휘발유, 경유 수출량 최대치 기록은 지난해 글로벌 정제마진 약세로 경영 여건이 악화한 가운데 국내 정유사가 경질석유 제품 수출 확대로 돌파구를 모색한 결과"라고 설명했다.
이어 "올해는 미국 트럼프 행정부 출범에 따른 에너지·통상 정책 영향 등으로 불안정성이 높아져 석유제품 수출 환경도 녹록치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임이랑 빅데이터뉴스 기자 lim625@thebigdata.co.kr
<저작권자 © 빅데이터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