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전일 시간외 매매에서 신세계인터내셔날 주가는 종가보다 0.96% 오른 1만520원에 거래를 마쳤다. 신세계인터내셔날의 시간외 거래량은 4만6168주이다.
이는 신세계가 중국 알리바바그룹과 손을 맞잡는다는 소식이 전해졌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신세계그룹이 중국 알리바바그룹과 전격 동맹을 맺기로 결정한 것은 자회사인 G마켓이 성과를 내지 못하는 가운데 새로운 돌파구를 찾으려는 시도로 보인다.
국내 e커머스 시장에서 G마켓이나 알리익스프레스코리아 모두 쿠팡과 네이버의 양강 체제의 벽을 뛰어넘기 벅찬 상황이다.
신세계그룹에 따르면 알리바바 자회사인 알리바바인터내셔널과 합작법인 ‘그랜드오푸스홀딩’을 설립한다.
양측이 산정한 합작법인의 기업가치는 약 6조 원에 이르는 것으로 전해졌다. 출자 비율은 5대5이며 신세계그룹은 이마트를 통해 보유한 지마켓 지분 80%를 현물 출자하는 방식으로 참여하게 된다.
알리바바의 경우 국내에 보유한 알리익스프레스코리아 지분에 더해 현금 3000억 원을 출자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내년에 설립될 합작법인에는 G마켓과 알리익스프레스코리아가 자회사로 편입된다. 다만 두 플랫폼은 현재와 마찬가지로 독립적으로 운영될 예정이다.
신세계가 알리바바의 동맹 체결은 국내 e커머스 시장의 한계를 넘어서기 위한 것으로 분석된다.
앞서 신세계는 2021년 6월 이베이코리아로부터 지마켓 지분 80%를 약 3조 4400억 원에 매입했다. 신세계그룹 역사상 최대 규모 인수합병(M&A)이었다.
하지만 지마켓은 신세계에 인수된 첫해에만 흑자를 낸 후 2022년과 2023년 연이어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올해 들어서도 지마켓은 3분기까지 누적 적자가 341억 원으로 역시 부진한 흐름이다.
특히 최근 들어서는 국내 e커머스 업계가 쿠팡과 네이버 2강 체제로 굳어지면서 국내시장에서 성장이 쉽지 않다는 평가가 많았다.
그런데 이번에 알리바바와의 협업을 통해 해외시장으로 진출할 수 있는 교두보를 확보하게 된 것이다.
알리바바 입장에서도 신세계와의 협업은 매력적인 카드다. 알리바바는 2018년 11월 국내 법인 알리익스프레스코리아를 출범하면서 국내시장 진출에 공을 들여왔다.
특히 지난해 10월 한국 판매자 채널 ‘K-Venue’를 론칭하면서 국내 셀러 유치에 집중해왔다. 여기에다 이번에 지마켓과 합작법인을 설립하면서 더 많은 한국 판매자들과 접점을 마련할 수 있게 됐다.
알리익스프레스가 10월 국내 셀러가 해외로 물건을 판매하는 역직구 서비스 글로벌 셀링을 론칭했는데 지마켓 셀러들이 들어올 수 있기 때문이다.
신세계도 글로벌 e커머스 알리바바와의 협업이 글로벌 시장 진출에 기회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신세계그룹에 따르면 G마켓이 보유한 국내 셀러는 약 60만 개 업체로 향후 알리바바의 글로벌 네트워크를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알리바바는 전 세계 200여 개 국가에서 e커머스 사업을 하고 있다.
이러한 소식에 신세계 그룹주들이 주목받고 있다. 신세계인터내셔날은 그룹 내 패션·뷰티 사업을 맡고 있다.
김준형 빅데이터뉴스 기자 kjh@thebigdata.co.kr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제공된 정보에 의한 투자결과에 대한 법적인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저작권자 © 빅데이터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