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9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전일 시간외 매매에서 샤페론 주가는 종가보다 3.76% 내린 2815원에 거래를 마쳤다. 샤페론의 시간외 거래량은 55만8141주이다.
최근 샤페론 주가 변동성이 커지고 있다. 이는 샤페론이 암 줄기세포를 표적하는 차세대 항암 면역 치료 기술 전임상 결과를 국제 전문학술지에 게재했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다.
면역 혁신신약개발 바이오기업 샤페론은 암 줄기세포를 표적하는 차세대 항암 면역 치료 기술의 탁월한 전임상 결과를 국제 전문학술지 'Biomedicine & Pharmacotherapy' (영향력 지수 7.5)에 게재했다고 17일 밝혔다.
암줄기세표를 표적하는 항암 면역 치료기술은 마우스 종양 모델에서 암을 죽이는 'T세포'의 증식이 활성화됐을 뿐 아니라 면역반응을 증가시키는 '인터페론-γ'의 생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흑색종의 성장을 91.2% 억제했으며, 폐 전이를 97% 차단하는 우수한 결과를 나타냈다.
샤페론이 발표한 암 줄기세포 표적항원은 대장암, 유방암, 폐암 등 다양한 암의 줄기세포에서 발현되며, 암의 증식 및 면역치료의 저항성과 연관된 단백질이다.
연구진은 표적항원을 통해 암 줄기세포를 제거하면 충분한 항암 면역반응이 유도돼 효과적인 항암치료가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암 줄기세포는 항암 면역반응을 억제해 면역항암제에 대한 저항성을 높인다. 이러한 이유로 면역항암제의 효능을 개선하기 위해 암 줄기세포를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노력이 계속되고 있지만, 상용화된 사례가 거의 없다.
샤페론 관계자는 "이번 차세대 항암 면역치료 기술은 암 줄기세포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유망한 표적항원을 새롭게 발굴함으로써 면역 항암치료기술을 한 단계 진화시켰다는 데 의의가 있다"며, "신약 개발을 통해 임상적 관해율이 낮고 재발이 빈번한 기존 면역항암제의 훌륭한 대안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기존의 면역항암제와 병용치료를 통해 면역 저항성이 있는 암 줄기세포를 제거해 환자의 종양 재발뿐 아니라 전이 가능성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며 "이번 전임상 결과를 토대로 암 줄기세포 표적항원에 대한 나노바디 기술을 개발해 항암치료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신약개발에 속도를 내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암 줄기세포를 표적으로 한 면역항암제 시장은 최근 급격히 성장 중이다.
업계에 따르면 관련 시장은 올해 약 24억 달러로 예상되며, 오는 2033년에는 57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대표적으로 'MimiVax'사가 뇌암의 암 줄기세포를 타깃으로 우수한 항암 치료 효과를 보였다.
김준형 빅데이터뉴스 기자 kjh@thebigdata.co.kr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제공된 정보에 의한 투자결과에 대한 법적인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저작권자 © 빅데이터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