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6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전일 시간외 매매에서 영진약품 주가는 종가보다 1.98% 오른 2060원에 거래를 마쳤다. 영진약품의 시간외 거래량은 1만9778주이다.
이는 정부가 '정신건강정책 비전선포대회'를 개최하고 국민 정신건강 지원체계를 손보겠다는 입장을 표명하면서다.
윤석열 대통령은 5일 "국민의 정신건강을 위해 국가가 적극 나서야 할 때"라며 "내년에 우선 8만 명, 제 임기 내 100만 명에게 전문 상담 서비스를 제공해서 초기 질환을 조기 발견하고 치료로 즉각 연계시킬 것"이라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정부는 예방, 치료, 회복에 이르기까지 전 과정의 지원체계를 재설계해서 정신건강 정책의 패러다임을 획기적으로 바꿔 나갈 것"이라며 직장인은 회사에서, 학생은 학교에서 쉽게 전문 상담을 받을 수 있는 일상적 '마음 돌봄체계'를 구축하겠다고 약속했다.
이날 회의에서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은 '정신건강정책 혁신방안'을 보고했다.
혁신방안은 10년 내 자살률 50% 감축을 목표로 2027년까지 100만명 대상 심리상담 서비스를 지원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다.
▲일상적 마음돌봄 체계 구축 ▲정신 응급대응 및 치료체계 재정비 ▲온전한 회복을 위한 복지서비스 혁신 ▲인식 개선 및 정신건강 정책 추진체계 정비 등의 정신건강정책 혁신을 위한 4대 전략을 담았다.
정부는 국민들이 스트레스, 우울, 불안이 생길때 쉽게 상담을 받아 위험요인을 조기 발견해 적기 치료가 이뤄질 수 있도록 '일상적 마음돌봄 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내년에 8만명, 임기내 100만명을 대상으로 전문 심리상담을 지원하고 청년은 격년마다 정신건강검진을 실시한다는 방침이다.
또 정신응급병상을 전 시군구로 확대 설치하고 정신질환 입원 환경을 신체질환 수준으로 개선하는 등 '치료 시스템'도 재정비한다. 특히 자타해 위험이 있는 정신질환자의 치료 중단이 없도록 집중 관리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정부는 치료에서 나아가 온전한 회복을 돕기 위해 직업훈련, 사회적응 훈련 등 재활・고용・복지서비스를 혁신한다. 또 공공후견 대상 범위도 확대하기로 했다.
신설되는 대통령직속 정신건강정책 혁신위원회는 정신건강정책의 대전환 틀을 완성하고, 위원회 내 캠페인위원회를 별도로 구성해 정신질환에 대한 편견 해소 등 국민 인식 개선을 위한 대대적인 캠페인을 전개할 예정이다.
한편 영진약품은 조현병 치료제를 생산하고 있고 투자자들의 관심이 몰린 것으로 풀이된다.
김준형 빅데이터뉴스 기자 kjh@thebigdata.co.kr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제공된 정보에 의한 투자결과에 대한 법적인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저작권자 © 빅데이터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