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들 계열사에 대해 최근 2년간 포스팅수(정보량=소비자관심도)와 호감도, 포스팅 유저의 성(性)별 등을 분석합니다.
이번 시리즈에 다루게될 백화점은 신세계, 롯데백화점, 현대백화점, 갤러리아백화점, NC백화점, AK플라자 등으로 지난 1회 '신세계백화점', 2회 '현대백화점'에 이어 이번 3회차에서는 '롯데백화점'에 대해 빅데이터 분석을 실시했습니다. <편집자 주>
롯데백화점은 최근 2년간 호감도가 고공비행을 하고 있는 가운데 롯데월드몰과 에비뉴엘 등을 포함하고 있는 대형 점포 잠실점이 가장 큰 인기를 누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데이터앤리서치는 빅데이터뉴스 의뢰로 뉴스·커뮤니티·카페·유튜브·블로그·트위터·인스타그램·페이스북·카카오스토리·지식인·기업/조직·정부/공공 등 12개 채널 23만개 사이트를 대상으로 롯데백화점에 대해 지난 2021년 7월 1일부터 2022년 6월 30일까지와 2022년 7월 1일부터 2023년 6월 30일까지 두 기간 온라인 정보량을 빅데이터 분석했다.
최근 2년간 연도별 포스팅 수(정보량=관심도) 분석 결과 롯데백화점은 지난 2021년 7월 1일부터 2022년 6월 30일까지 총 85만5,820건의 정보량을 기록했으며 1년 중 2021년 7월에 가장 적은 6만731건을, 같은 해 10월에 가장 많은 7만8,650건을 나타냈다.
이에 비해 지난 2022년 7월 1일부터 2023년 6월 30일까지는 직전 1년간 정보량에 비해 3.03%P로 소폭 줄어든 82만9,783건을 기록했으며 1년 중 2023년 2월에 가장 적은 6만5,311건을, 2022년 12월에 가장 많은 7만5,630건을 나타냈다.
최근 1년간 포스팅 수가 줄어든 이유는 고금리로 인해 소비자들이 지갑을 닫는 경향과도 무관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백화점 기획③] 롯데백화점, 최근 2년간 순호감도 75% '고공비행'…"잠실점 큰 인기"](https://cgeimage.commutil.kr/phpwas/restmb_allidxmake.php?pp=002&idx=3&simg=202308231626240218096085a06ef4917338228.jpg&nmt=23)
롯데백화점은 지난 2021년 7월 1일부터 2022년 6월 30일까지 긍정률 77.70%, 부정률 3.19%로 긍정률에서 부정률을 뺀 값인 순호감도는 74.51%를 기록한데 비해 2022년 7월 1일부터 2023년 6월 30일까지 1년간은 긍정률 77.27%, 부정률 2.95%로 순호감도 74.32%를 나타냈다.
전년 대비 긍정률이 0.43%P로 소폭 하락했지만 부정률도 0.25%P 낮아지면서 순호감도는 0.18%P 미미하게 하락하면서 74%대라는 높은 순호감도를 유지하는데 성공했다.
분석 기간 롯데백화점에 관해 개인 작성자들의 포스팅들을 살펴보았다.
지난 5월 온라인 커뮤니티 '디시인사이드'의 한 유저는 "반포보다 잠실이 더 좋아보이는데"라는 제목과 함께 "롯데타워 롯데월드 롯데백화점 이런 인프라가 너무 압도적이지않냐? 반포는 진짜 강남 신세계 백화점 딱하나밖에 없는데"라며 롯데백화점을 언급했다.
반면 같은 채널에서 지난 6월 또다른 유저는 "롯데백화점 부산 센텀점은 회생 가능할까?"라는 제목의 글을 게시했다.
이 작성자는 "바로옆 신세계백화점이랑 비교했을때 신세계는 사람 많은반면 센텀롯백은 썰렁함"이라며 "유동인구 많은 지하층 식품관도 신세계는 넓고 사람도 평일에도 붐빔. 반면 롯데는 식품관도 반쪽짜리고 사람 그닥 많지가않고 지하철 연결층도 롯백은 유니클로 매장이 끝임"이라고 설명했다.
지난 3월 네이버 카페 '인스티즈'에서 한 회원은 "롯데백화점 은근 편한게 카드를 안 가림"이라는 제목과 함께 "보통 당사 백화점 제휴카드 아니면 사은행사 참여 안 되거나 구매실적 반절만 쌓이는데 롯데는 그냥 상품권이나 아무 카드사 카드로 결제해도 다 쌓여서 편해"라고 말했다.
롯데백화점을 둘러싼 개인 작성자들의 포스팅에서는 대표 3사로 꼽히는 타 백화점과 비교하는 모습도 포착됐다.
지난 4월 온라인 커뮤니티 'MLBPARK'의 한 유저는 "현대백화점VS롯데백화점"이라는 제목과 함께 두 백화점의 전경 사진을 첨부하며 "어디를 더 선호하시나요?"라고 질문했고, 이를 본 다른 회원들은 "닥 롯", "현대는 상류층 백화점" 등 여러 의견을 내놓는 모습이었다.
![[백화점 기획③] 롯데백화점, 최근 2년간 순호감도 75% '고공비행'…"잠실점 큰 인기"](https://cgeimage.commutil.kr/phpwas/restmb_allidxmake.php?pp=002&idx=3&simg=202308231629550318696085a06ef4917338228.jpg&nmt=23)
롯데백화점의 채널별 정보량을 살펴본 결과 뉴스·커뮤니티·카페·유튜브·블로그·트위터·인스타그램·페이스북·카카오스토리·지식인·기업/조직·정부/공공 등 12개 채널 가운데 '블로그'의 정보량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롯데백화점은 지난 2021년 7월 1일부터 2022년 6월 30일까지 △블로그 34만3,630건 △카페 19만7,055건 △인스타그램 14만4,470건 △뉴스 13만4,878건 △커뮤니티 1만231건 △트위터 8,855건 △유튜브 8,405건 △기업/단체 2,976건 △지식인 2,903건 △카카오스토리 1,082건 △페이스북 990건 △정부/공공 345건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2022년 7월 1일부터 2023년 6월 30일까지는 △블로그 39만3,851건 △카페 17만3,611건 △뉴스 11만6,901건 △인스타그램 10만99건 △트위터 1만5,641건 △유튜브 1만3,822건 △트위터 9,446건 △지식인 2,441건 △기업/단체 1,972건 △카카오스토리 901건 △페이스북 879건 △정부/공공 309건 순으로 나타났다.
채널별 증감 추이를 살펴보면 블로그, 트위터, 유튜브 3개 채널을 제외한 9개 채널에서는 2021년 7월 1일부터 2022년 6월 30일까지 1년간 정보량보다 직전 1년간 정보량이 더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포스팅 하나당 파급력이 큰 유튜브 채널의 영상수가 64% 이상 급증한 것은 매우 긍정적이다.
![[백화점 기획③] 롯데백화점, 최근 2년간 순호감도 75% '고공비행'…"잠실점 큰 인기"](https://cgeimage.commutil.kr/phpwas/restmb_allidxmake.php?pp=002&idx=3&simg=202308231639130962896085a06ef4917338228.jpg&nmt=23)
데이터앤리서치는 롯데백화점 연관키워드 분석을 통해 각 지점별 정보량을 조사해 관심도 상위 5개 지점을 찾아냈다.
롯데백화점 잠실점은 지난 2022년 7월 1일부터 2023년 6월 30일까지 1년간 총 8만6,016건으로 지점 관심도 1위를 차지했다.
이어 ▲인천점 8만2,618건 ▲강남점 6만4,525건 ▲대구점 6만1,653건 ▲울산점 5만6,453건 순으로 나타났다.
![[백화점 기획③] 롯데백화점, 최근 2년간 순호감도 75% '고공비행'…"잠실점 큰 인기"](https://cgeimage.commutil.kr/phpwas/restmb_allidxmake.php?pp=002&idx=3&simg=202308231634580044396085a06ef4917338228.jpg&nmt=23)
성별 관심도는 자신의 프로필을 드러낼 수 있는 7개 채널에서 포스팅 작성자의 성별이 드러난 정보량만을 대상으로 하며, 여성 관심도는 성별 프로필이 드러난 전체 정보량 대비 자신이 여성임을 밝힌 유저의 포스팅 수의 비율을 집계한 것이다.
롯데백화점은 작성자의 성별이 드러난 2만4,278건의 정보량 가운데 여성 작성자로 드러난 포스팅 수가 77.11%를 차지했으며 남성 작성자의 포스팅 비율은 22.89%를 나타냈다.
다만 같은 기간 대한민국 전체 포스팅 중 성별이 드러난 게시물 중 여성이 올린 글이 2,833만5,859건 75.5%라는 것을 감안하면 롯데백화점에 대한 남성 관심도는 그래프에 보이는 수치보다는 높을 것으로 짐작된다.
최근 1년간 롯데백화점에 대해 여성 작성자의 포스팅을 살펴보았다.
지난 3월 블로그 커뮤니티 '티스토리'에는 "롯데백화점 문화센터 유아발레 몸도 마음도 건강하게"라는 제목의 글이 게시됐다.
이 작성자는 롯데백화점 수원점에서 운영하고 있는 유아 발레 클래스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는 한편 "수원 롯데백화점 문화센터는 강의실 바로 옆에 옷을 갈아입을 수 있는 탈의실 공간이 있어서 더 편하고 쾌적하게 수업을 받을 수 있다"라는 등 만족감을 드러냈다.
![[백화점 기획③] 롯데백화점, 최근 2년간 순호감도 75% '고공비행'…"잠실점 큰 인기"](https://cgeimage.commutil.kr/phpwas/restmb_allidxmake.php?pp=002&idx=3&simg=202308231642050849696085a06ef4917338228.jpg&nmt=23)
연령대별 관심도는 포스팅 작성자의 연령이 드러난 트위터·인스타그램·유튜브·페이스북·카카오스토리·블로그 등 7개 채널의 정보량만을 대상으로 하며, 연령이 드러나지 않은 게시물은 집계되지 않는다.
롯데백화점은 2,387건의 연령별정보량 가운데 20대 작성자로 드러난 포스팅 비율이 74.61%를 차지했다.
같은 기간 대한민국 전체 포스팅 중 연령이 드러난 게시물이 2,066만9,320건인데 이중 20대가 작성한 것이 1,021만6,735건으로 전체 49.4%인 점을 비교하면 롯데백화점에 대한 20대 관심도는 평균 수치보다 약 25.21%P 더 높았다.
이어 △30대 11.35% △10대 6.03% △40대 5.74% △50대 2.26% 순으로 나타났다. 10대를 제외한 전 연령층의 포스팅 수는 대한민국 전체 평균보다 모두 높은 것은 긍정적이다.
분석 기간 롯데백화점에 관해 20대 작성자의 포스팅 예시로는 지난 2022년 12월 트위터의 한 유저는 "신세계 말구 롯데백화점도 짱이에요"라며 롯데백화점 외관에 장식된 크리스마스 트리 사진을 함께 첨부했다.
최효경 빅데이터뉴스 기자 bdchk@thebigdata.co.kr
<저작권자 © 빅데이터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