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노, 주가 껑충…AAIC서 '뷰노메드 딥브레인' 발표 촉각

하지운 기자

2023-07-18 12:16:53

뷰노, 주가 껑충…AAIC서 '뷰노메드 딥브레인' 발표 촉각
[빅데이터뉴스 하지운 기자]
뷰노 주가가 강세를 보이고 있다.

18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오후 뷰노 주가는 전 거래일보다 6.8% 오른 3만7400원에 거래되고 있다.

의료인공지능 기업 뷰노는 알츠하이머 분야 세계 최대 글로벌 학회인 알츠하이머협회 국제컨퍼런스 AAIC(Alzheimer’s Association International Conference)에 참가해 인공지능 기반 치매 조기 진단 관련 연구 결과를 발표한다고 밝혔다. 올해 AAIC는 오는 16일부터 20일까지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에서 개최된다.

이번 행사에서 뷰노는 AI 기반 뇌 정량화 의료기기 '뷰노메드 딥브레인®'을 활용한 연구 결과를 발표한다.
뷰노메드 딥브레인은 딥러닝을 기반으로 뇌 MRI 영상을 분석, 뇌 영역을 100여개 이상으로 분할(Parcellation)하고 각 영역의 위축정도를 정량화한 정보를 1분 내에 제공하는 의료기기다.

의료진이 환자의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돕고, 치매 가능성이 있는 환자를 미리 선별하는 데 도움을 준다.

뷰노는 주관적 인지저하(SCD, 환자가 주관적으로 경험하는 뇌 기능의 미세한 감소로 경도인지장애보다 앞 단계에 해당함) 환자의 뇌 내 아밀로이드 베타 단백질 양성도를 예측, 뷰노메드 딥브레인의 알츠하이머병 조기 진단 성능을 입증한 연구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주관적 인지저하는 기억력, 인지능력, 학습능력, 집중력 등에서 환자가 주관적으로 경험하는 뇌 기능의 미세한 감소를 의미한다.

기존 경도인지장애 혹은 초기 치매 환자에서 알츠하이머병 위험 인자 조기 식별을 위해서는 뇌 내 아밀로이드 베타 단백질의 축적 정도를 확인할 수 있는 PET(양전자 방출 단층촬영) 검사를 한다.

다만 해당 검사는 비용이 높고 시행하는 병원이 많지 않아 환자의 접근성이 낮은 편이다.

​뷰노메드 딥브레인은 상대적으로 비용이 낮고 접근성이 높은 뇌 MRI를 기반으로 뇌의 영역별 위축정도를 알려준다.
또 환자에게 본격적인 치매 증상이 나타나기 전인 주관적 인지저하 환자에서도 알츠하이머병을 조기 진단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뷰노는 이번 AAIC 현장에서 뷰노메드 딥브레인®의 임상적 우수성을 알리는 한편, 현장 참가자들과 접점을 늘려 파트너십 확장을 도모할 계획이다.

해당 제품은 지난 2020년 유럽 CE 인증을 획득한 바 있으며, 현재 미국 시장 진출을 위한 FDA 승인 절차가 진행 중이다.

이예하 뷰노 대표는 “알츠하이머 분야의 가장 큰 학회 현장에서 미국 시장 진출을 앞두고 있는 뷰노메드 딥브레인®의 우수성과 뷰노의 연구개발 역량을 선보일 수 있게 됐다”라며 “향후 해당 제품이 전세계 다양한 임상 현장에서 의료진에게 치매 진단을 위한 다양한 보조적 정보를 제공해 심각한 삶의 질 하락을 초래하는 치매 문제를 해결하는 데 보탬이 될 수 있도록 계속 힘쓰겠다”고 말했다.

하지운 기자 thebigdata@kakao.com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제공된 정보에 의한 투자결과에 대한 법적인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저작권자 © 빅데이터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