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에 따르면 포항공대(포스텍)는 김원배 화학공학과·철강·에너지소재대학원 교수, 화학공학과 박사과정 강송규 씨, 통합 과정 김민호 씨 연구팀이 효율성을 높인 음극소재 기술을 개발했다고 14일 밝혔다.
연구팀은 리튬 이온 저장 능력이 우수하고 강자성 특성을 지닌 '망간-철 산화물' 음극재가 더 많은 리튬을 저장할 수 있도록 합성 방법을 새롭게 설계했다.
망간 산화물이 있는 용액에 철을 넣은 결과 갈바닉 치환 반응을 통해 안쪽에는 망간 산화물이, 바깥쪽에는 철 산화물이 분포된 이중구조물이 형성됐다.
갈바닉 치환 반응은 금속이 자신보다 높은 환원전위를 지닌 금속 이온을 만날 때 일어나는 전기화학 반응이다.
연구팀은 금속 이온을 함유하는 수용액을 고온·고압으로 반응시켜 다양한 나노미터 및 마이크로미터 크기의 분말을 합성하는 수열합성법 등 과정을 통해 '망간-철 산화물' 음극재를 표면적이 큰 나노미터 두께 시트 형태로 만들었다.
그 결과 많은 양의 리튬 이온이 추가로 저장됐다.
연구팀은 '망간-철 산화물' 음극재가 낼 수 있는 이론적 용량보다 50% 이상 늘리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음극재 표면적이 증가함으로써 많은 양의 리튬 이온과 전자가 동시에 이동할 수 있어 이차전지 충전속도가 향상됐다.
![연합뉴스](https://cgeimage.commutil.kr/phpwas/restmb_allidxmake.php?pp=002&idx=3&simg=20230614112651059773e9bb86c6922115117158.jpg&nmt=23)
현재 전기차 충전은 보통 약 10시간 걸리고 급속 충전하더라도 최소 30분이 소요된다.
이 연구는 재료공학 분야 국제학술지인 '어드밴스트 펑셔널 머티리얼스' 앞표지 논문으로도 실렸다.
연구를 이끈 김원배 교수는 "기존 음극재의 전기화학적 한계를 극복하고 이차전지 용량을 높일 수 있는 전자스핀 활용 표면 설계에 대한 새로운 통찰력을 제공했다"며 "전기차 내구성과 충전 속도 모두 향상할 수 있는 방안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
강지용 빅데이터뉴스 기자 news@thebigdata.co.kr
<저작권자 © 빅데이터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