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공=연합뉴스](https://cgeimage.commutil.kr/phpwas/restmb_allidxmake.php?pp=002&idx=3&simg=202301031520190152796085a06ef4917338228.jpg&nmt=23)
정의선 회장은 3일 경기도의 남양연구소 강당에서 열린 신년회에서 니트와 연한 남색 바지를 입고 운동화를 신은 채 무대에 올라 신년 메시지를 전했다.
현대차그룹은 올해 신년회가 코로나 여파로 3년만에 열린 오프라인 행사이자, 경영진과 임직원이 소통할 수 있도록 격식을 파괴한 신년회라고 설명했다.
타운홀 미팅 방식의 신년회는 정 회장이 직접 제안한 것으로 전해졌으며, 신년회에는 정 회장을 비롯해 경영진과 임직원 등 600여명이 참석했다.
현장에 직접 참석하지 못한 직원들은 회사에서 생중계된 신년회를 시청할 수 있었고, 객석에 앉은 직원들 대부분은 MZ세대(1980년대 초∼2000년대 초 출생)로 보였다.
정 회장은 "저도 나이가 50이 넘었지만 MZ세대 같은 때가 있었다"며 "우리가 어렸던 시대에는 쉽게 이야기하지 못하고 경청만 해야 하는 시대였는데 지금은 세상이 바뀌었다"고 말했다.
이어 "물이 고이면 썩는 것처럼 변화를 멈추면 쉽게 오염된다"며 "결과에 대한 두려움 없이 새롭게 시도할 수 있는 문화를 만드는 것이 제일 중요하다"고 강조하며 " 능동적이고 변화무쌍한 조직문화가 자리를 잡도록 지속해서 인사를 할 것"이라며 "리더의 자질을 인사의 기준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정 회장은 이후 장재훈 현대차 사장, 송호성 기아 사장, 박정국 연구개발본부 사장, 송창현 TaaS본부 및 차량SW(소프트웨어) 사장 등과 함께 무대 위 의자에 앉아 직원들과 소통의 시간을 가졌다.
한 직원이 능동적이고 능률적인 조직문화 조성을 위한 구체적인 개선 내용을 물어보자 정 회장은 정몽구 명예회장에게 보고했던 방식을 소개하기도 했다.
정 회장은 "옛날 명예회장께 보고할 때 생각과 결론을 먼저 얘기하고 이유를 설명했다"며 "(일반적으로) 보고하는 것을 보면 결론이 없고 자신의 생각이 없다"고 답하며 "과거를 통해 영감을 얻어 어떻게 변화를 도모할 것인지가 중요하다"며 "포니 쿠페 오마주뿐 아니라 스텔라까지 헤리티지(유산) 범위에 넣어서 발전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정 회장은 "현재 200~300개 반도체 칩이 들어가는 차가 자율주행이 되면 2천개 들어갈 것으로 예상된다"며 "자동차 제조회사지만 어떤 전자 회사나 ICT 회사보다도 치밀하고, 종합 제품을 만드는 회사가 될 수 있다는 꿈을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여러분이 계시기 때문에 그런 꿈을 갖고 있다"며 "항상 든든하고 같이 일하는 것이 행복하고 감사하다"고 덧붙였다.
최효경 빅데이터뉴스 기자 bdchk@thebigdata.co.kr
<저작권자 © 빅데이터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