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아 3분기 손익계산서](https://cgeimage.commutil.kr/phpwas/restmb_allidxmake.php?pp=002&idx=3&simg=202210251540310660562abca1943121129248137.jpg&nmt=23)
기아 관계자는 올해 3분기 실적과 관련해 “부품 수급 개선으로 판매가 증가했고, 높은 상품 경쟁력을 바탕으로 한 고수익 차량 중심의 판매로 수익 구조 개선이 지속된 가운데 우호적 환율 영향도 강하게 작용했으나, 엔진 품질비용이 크게 반영된 결과 영업이익 감소를 피할 수 없었다”라고 설명했다.
3분기 기아의 글로벌 판매는 도매 기준 ▲국내에서 전년 대비 6.2% 증가한 13만 2,768대 ▲해외에서 전년 대비 10.7% 증가한 61만 9,336대 등 ▲글로벌 시장에서 전년 대비 9.9% 증가한 75만 2,104대를 기록했다.
국내 판매는 EV6 및 신형 니로의 신차 효과와 더불어 반도체 등 부품 수급 개선으로 주요 SUV 모델들의 대기 수요가 일부 해소되며 전년 대비 소폭 증가했으며 해외 판매는 러시아 권역의 판매 중단 영향이 본격화됐지만, ▲수익성이 더 높은 타 권역으로의 물량 전환 ▲인도공장 3교대 전환 ▲카렌스(인도)ㆍ신형 스포티지 신차 효과 등으로 대부분의 권역에서 증가했다.
3분기 매출액은 ▲반도체 등 부품 수급 상황 개선 ▲EV6 및 신형 스포티지 판매 본격화 ▲전반적인 판매 차종의 사양 상향에 따른 판매가격 상승이 이뤄진 가운데, ▲우호적 환율 효과가 더해져 전년 대비 30.5% 증가한 23조 1,616억원을 달성했다.
매출원가율은 원자재가 상승에 따른 매출원가 증가 요인이 있었지만, 큰 폭의 매출 확대에 힘입어 전년 대비 2.3%포인트 개선된 79.7%를 기록했으며 판매관리비율은 최근 엔진 품질 비용 재산정에 따른 추가 충당금 반영과 기말환율 상승 영향으로 판매보증비가 증가함에 따라 전년 대비 6.5%포인트 상승한 17.0%를 기록했다.
3분기 영업이익은 큰 폭의 매출 증가를 달성했음에도 불구하고 품질보증비용 확대로 전년보다 42.1% 감소한 7,682억원을 기록했으며 이에 따라 영업이익률도 4.2%포인트 하락한 3.3%를 기록했다.
기아는 ▲생산 정상화를 통한 판매 확대 ▲상품성과 브랜드력 제고에 따른 사양 및 트림 믹스 강화 ▲미국 등 주요 시장에서 업계 최저 수준의 인센티브 설정을 통한 ‘제값받기’ 가격 정책 ▲대당 판매가격 상승 등 높은 수익 구조 개선을 지속해 손익 악화를 최소화했으며 3분기 원-달러 평균 환율이 1,338원으로 전년 대비 15.6% 상승하며 매출 확대와 수익성 개선에 상당 부분 기여했다고 분석했다.
기아의 올해 3분기까지 누적 경영실적은 ▲판매 217만 1,590대(전년 동기 대비 2.0%↑) ▲매출액 63조 3,949억원(20.4%↑) ▲영업이익 4조 6,088억원(18.5%↑) ▲당기순이익 3조 3,724억원(4.0%↓)을 기록했다.
기아의 3분기 친환경차 판매는 소매 판매 기준 전년 동기 대비 46.8% 증가한 12만 3,000대를 기록했으며, 전체 판매 중 친환경차 판매 비중도 전년 대비 5.6%포인트 상승한 16.8%를 달성했으며 유형별로는 ▲전기차가 4만대(전년 대비 34.3%↑) ▲하이브리드가 6만 2,000대(67.0%↑) ▲플러그인 하이브리드가 2만 1,000대(24.1%↑)를 기록했다.
주요 시장에서의 전기차 판매 비중도 각각 ▲국내 12.3%(전년 동기 7.5%) ▲서유럽 11.7%(전년 동기 11.5%) ▲미국 3.2%(전년 동기 1.7%)를 기록하는 등 크게 확대됐으며 지난해 3분기 전체 전기차 판매 중 서유럽이 차지하는 비중이 52.9%로 절반 이상을 차지했으나, 올해는 ▲국내 비중이 40.8%로 가장 높았고 ▲서유럽이 38.9% ▲미국이 14.6%로 주요 시장에서 고른 판매를 기록했다.
최효경 빅데이터뉴스 기자 bdchk@thebigdata.co.kr
<저작권자 © 빅데이터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