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 번째 발제자로 나선 전남대학교 정병석 총장은 ‘지역과 상생하는 대학교육혁신 추진방향’을 주제로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사업을 구체적으로 설명했다.
두 번째 발제자인 경남플랫폼 이은진 센터장은 연구개발과 인재 양성의 결합, 앵커기업 연계 졸업인증 제도 등을 도입한 경남의 USG 공유대학 기반 대학교육 혁신 방향 사례를 중심으로 지방대학 공유·상생 모델을 구축하고 제도화 지원 방안을 설명했다.
이어 토론을 맡은 홍진태 충북플랫폼 총괄운영센터장은 인구 감소 등 전방위적인 지역위기 심화가 예견되는 상황에서 지자체와 대학 간 협력을 기반으로 지역대학 혁신과 지역혁신을 함께 추진하기 위한 혁신체계 구축이 필요하다고 지적하며 충북의 바이오헬스 허브 사업 모델을 예로 들어 디지털 뉴딜을 통한 혁신 플랫폼 구축과 지역 공유형 대학의 나아갈 방향을 소개했다.
남궁문 원광대 총장은 지 미국의 산·학·연·관 라운드 테이블 사업, 일본의 제조업 비즈니스 사업, 독일 및 네덜란드의 혁신클러스터 사업 등 세계 각국의 대학-지역 협업 혁신 모델을 소개하며 ▶지자체와 대학이 지역의 발전을 위해 상호 협업하는 문화 정착 ▶ “효율성과 경쟁” 개념에서 “혁신과 공유·협업”으로의 패러다임 전환 ▶참여하는 주체들이 동등한 참여자로서의 책임과 권한을 가지는 문화 등 자체-대학-산업체 및 연구소 등 각 지역혁신 주체 간 조화속에 지역혁신이 실질적으로 이뤄질 수 있는 방향을 제시했다.
그러면서 ‘기업이 투자하는 도시, 그곳엔 교육 플랫폼이 있다’는 주제로 토론을 시작한 조영빈 다쏘시스템코리아 대표이사는 제조업의 지식과 자산을 가진 제조업체들이 대학과 디지털 기반 제조 환경으로의 전환을 준비하고 재직자들도 자신의 노하우를 디지털로 녹여낼 수 있는 교육을 받는 시스템이 필요하다며 이를 위해 학교와 기업이 공생할 수 있는 도시로 나아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마지막으로 신익현 교육부 고등교육정책관은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 사업’은 단순한 재정지원사업이 아니라 지역과 대학이 상생 방안을 모색하는 새로운 틀의 정책이며 ‘지역혁신 플랫폼’을 기반으로 지역이 필요로 하는 인재를 스스로 양성하고 지역의 경쟁력을 강화하여 지역혁신의 선순환 구조를 구축할 수 있도록 최대한 뒷받침 하겠다고 밝혔다.
서동용 의원은 “지방의 대학은 지역 인재와 지역 자원의 집약체로서 이러한 지역의 위기를 혁신적으로 극복할 수 있는 중요하고, 소중한 자산”이라고 말하며 “ 많은 지방대학의 사정이 어려운 지금 지방대학이 역량을 발휘해 지역의 산업과 실정에 맞는 인재를 선택·집중적으로 키워낼 수 있도록 지원헤 지역혁신과 지방대학혁신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고 나아가 국가균형발전에 보탬이 되도록 최선을 다해 도울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토론회는 코로나19 재확산으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 2단계 실시에 따라 참석자 명단 사전 제출, 회의실 정원 준수 및 좌석 별 거리 이격 등 강화된 국회 방역지침에 맞춰 안전하게 진행됐다.
김정훈 빅데이터뉴스 기자 news@thebigdata.co.kr
<저작권자 © 빅데이터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