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발화를 이해하고 자연스럽게 대화하는 음성지능
인간은 음성언어를 통해 서로 생각이나 느낌을 전달하고 공유한다. 자유발화 인터페이스 과제는 인간의 가장 중요한 정보전달 및 의사소통 수단인 언어를 다루는 기술과 서비스를 개발한다. 특히 단순한 패턴이나 시나리오 형태의 고정된 대화에서 벗어나, 인간과 기계간의 자연스 러운 대화를 가능하게 하는 자유발화형 음성대화처리 기술을 핵심으로 한다.

자유발화 인터페이스 과제는 1차년도에는 언어학습을 위한 자유발화형 음성대화처리 기술을 설계하고, 2차년도에는 통합 베이스 라인 시스템 개발을 진행했다. 3차년도에는 성능 향상 및 파일럿 시스템을 개발한다. 다가오는 4/5차년도에는 시스템 평가 및 최적화에 집중할 계획이다.
자유발화 인터페이스 과제의 주요 기술
자유발화 인터페이스 과제의 주요 연구개발 내용은 비정형 자연어* 음성인식 기술, 자유 대화 처리 기술, 언어학습 기술이다.
▷비정형 자연어 음성인식 기술
자연스러운 발화에는 감탄사, 더듬거림 등의 비정형 발화 현상이 포함된다. 이를 정확히 인식하기 위해서는 고정밀 음성분석 기술에 기반한 비정형 자연어 음성 지식 모델링 기술 개발이 필수적이다.
▷ 자유 대화 처리 기술
현실세계의 대화 상황처럼 동적으로 변하는 대화 문맥을 처리하고 응답하기 위해서는 자유발화형 대화 이해/관리 기술, 대화지식 자동학습 기술 등의 핵심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언어학습 기술
자유발화형 음성지능 기술을 언어학습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음성인식 및 대화처리 핵심 기술 외에 발음 유창성 평가, 문법 오류교정, 외국어 학습용 콘텐츠 저작도구, 다국어 영어발음 최적화 기술 등의 개발이 요구된다.

자유발화형 언어학습 플랫폼
음성대화처리 기술은 자동차, 문화, 교육, 의료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어 차량 정보 서비스, 콜센터 녹취및 고객응대 서비스, 노인 말벗 서비스, 개인비서 서비스 등과 같은 새로운 서비스를 창출할 수 있다.

자유발화 인터페이스 과제는 자유발화형 언어학습 플랫폼을 개발하여 한국어, 영어 등 언어학습 전문기관에 핵심 원천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플랫폼을 통해 한국어/영어의 발음 교육에서부터 문법및 표현, 회화 등 다양한 형태의 언어교육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다.
더불어 이러한 서비스를 통해 국내 도서 산간 지역의 부족한 외국어 교사를 대체하거나 다문화 가정 및 국내 취업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육 서비 스로 활용이 가능하며 일본, 중국, 동남아 등에 영어/한국어 교육 서비스를 수출함으로써 관련 산업 육성 및국제 교류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한승균 기자 / 전자공학 박사
<저작권자 © 빅데이터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