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TLA 오토 드라이브 1.0은 전동화와 소프트웨어 중심 차량 기술인 'STLA 브레인', 'STLA 스마트 콕핏'과 함께 스텔란티스 미래차 전략의 핵심이다.
이번에 공개된 버전은 미국자동차공학회(SAE) 기준 자율주행 3단계로 운전대에서 손을 떼는 핸즈 프리와 전방을 주시하지 않아도 되는 아이 오프 기능을 제공한다. 자율주행 3단계는 일정한 조건에 따라 차량이 스스로 주행하는 수준을 말한다.
STLA 오토 드라이브 1.0은 최고 60㎞/h까지 자율주행이 가능하다. 스텔란티스는 가다 서다를 반복하는 시내 도로에서 운전대에서 손을 놓고 영화를 보거나 독서를 하는 등 운전 이외 활동을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첨단 감지 기능으로 차량이 주변 환경을 수시로 살피고 야간이나 악천후 속에서도 안정적인 성능을 제공한다고 덧붙였다.
사용자 편의성을 고려한 점도 특징이다. 차량이 자율주행에 적합한 조건을 감지하면 운전자에게 알림을 보내고 운전자는 버튼을 누르기만 하면 STLA 오토 드라이브를 실행할 수 있다.
고속 주행 땐 한 단계 낮은 2단계 또는 2.5단계 수준 운전자 보조 기능을 지원한다. 이는 운전대를 잡은 채 조향에 도움을 받으면서 앞 차량과 거리를 유지하고 속력을 제어하는 능동형 정속 주행 장치(어댑티브 크루즈 컨트롤)와 같다.
스텔란티스는 향후 자율주행 3단계로 95㎞/h까지 달릴 수 있도록 기술 개발을 지속한다는 계획이다.
네드 쿠릭 스텔란티스 최고기술책임자(CTO)는 "운전자가 시간을 더욱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을 최우선 과제로 둘 것"이라며 "STLA 오토 드라이브는 반복적인 운전 작업을 대신해 운전자에게 더 여유롭고 즐거운 경험을 선사할 것"이라고 말했다.
성상영 빅데이터뉴스 기자 ssy@thebigdata.co.kr
<저작권자 © 빅데이터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