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0일 도의회에 따르면 이번 보고회는 충무공 이순신의 병참 활동과 호남 민초들의 구국 정신에 관한 우리 지역 문화유산 발굴 및 전남 지역의 역사를 재조명하기 위해 마련했다.
연구회는 전남대학교에 ‘약무호남 시무국가의 발자취를 찾기’ 연구 용역을 의뢰 해 충무공 이순신의 병참활동 유적지를 역사적 고증을 거쳐 지역관광자원이나 역사교육자료로 활용하는 방안을 제안할 계획이다.
‘약무호남 시무국가(若無湖南 是無國家)’는 호남이 없으면 국가도 없다는 뜻의 충무공 이순신의 어록이며, 순천왜성은 정유재란 때 일본군이 주둔하면서 조선과 명나라 연합군이 대치하며 치열한 전투가 벌어진 곳으로 동아시아 전쟁의 역사적 가치가 높은 곳이다.
전남대 노기욱 교수는 “순천왜성은 한·중·일 3개국이 대립한 격전지로 세계평화와 공동번영의 역사의 교육장소로 활용해야한다” 며 “국내 관광객은 뿐만 아니라 중국과 일본 관광객 유치를 위해 체계적인 정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임종기 의원은 “국가적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치열하게 싸웠던 호남 민초들의 역사를 바로 세워야 한다” 며 “임진왜란과 정유재란의 유적지를 역사교육 및 체험의 장으로 마련하여 전남도민들이 자긍심을 가질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임진왜란 연구회’는 임진왜란 당시에 호남의 구국활동을 연구해 호남의 문화유산 발굴과 애국정신을 재조명하기 위해 구성한 의원 연구단체로, 연구용역과 현장답사를 실시하는 등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다.
연구회 회원은 더불어민주당 소속 임종기(순천2), 이광일(여수1), 이동현(보성2), 사순문(장흥1), 최명수(나주2), 이상철(곡성), 한근석(비례), 조광영(해남2), 이철(완도1), 신민호(순천6), 이현창(구례) 의원 11명이다
김정훈 빅데이터뉴스 기자 news@thebigdata.co.kr
<저작권자 © 빅데이터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