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진에스엠, 주가 급등…'열폭주 막는 방염소재' 연내 양산 관측

김준형 기자

2024-10-11 05:00:53

신진에스엠, 주가 급등…'열폭주 막는 방염소재' 연내 양산 관측
[빅데이터뉴스 김준형 기자] 신진에스엠 주가가 시간외 매매에서 급등했다.

11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전일 시간외 매매에서 신진에스엠 주가는 종가보다 1.55% 오른 2625원에 거래를 마쳤다. 신진에스엠의 시간외 거래량은 4만5266주이다.

최근 리튬 전지 공장 화재로 배터리 안전성 향상이 중요해진 상황에서 신진에스엠이 열폭주를 지연시키는 방염소재 개발에 속도를 내고 있다.

올 연말 양산이 가능할 것으로 관측되는 가운데 회사의 새로운 모멘텀으로 작용할 것이란 기대가 커지고 있다.
관련 업계에 따르면 신진에스엠은 탄소계열 복합소재 전문기업 에스플러스컴텍과 손잡고 올해 연말 양산을 목표로 방염·단열 시트를 개발 중이다.

현재 에스플러스컴텍이 보유한 원천 특허기술을 토대로 소재 개발은 마친 상태로, 글로벌 완성차 기업 벤더사와 추가 연구개발을 진행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양산 시점은 올해 말쯤으로 관측되고 있다.

에스플러스컴텍은 탄소나노튜브(CNT), 그래핀(Graphene) 등 탄소계열 복합소재의 연구개발에 선두에 있는 벤처기업이다.

습식공정 업사이클(Upgrade+Recycle) 기술을 기반으로 전기차 배터리용 탄소 부직포, 탄소 사출부품을 생산하고 있다. 신진에스엠은 지난해 6월 에스플러스컴텍과 공동 사업을 위해 합작법인(JV) '신진머트리얼즈'를 설립했다.

앞서 경기 화성시 리튬 전지 공장 화재로 다수의 인명 피해가 발생한 바 있다. 이같은 배터리 화재는 열폭주 현상에 기인한다.

열폭주 현상이란 전기가 열에너지로 전환하면서 온도를 상승시키고, 이로 인해 전류가 오르면서 또 다시 온도가 올라가 발생하는 화학 현상이다.

리튬 배터리가 충격을 받았을 경우 열폭주 현상이 발생하고 온도가 급격하게 오르게 돼 한 번 폭발이 발생하면 이를 제어하기가 매우 어렵다.

앞서 지난해 11월 에스플러스컴텍은 '배터리 열폭주 지연용 방염 폼패드 및 그 방염 폼패드 제조방법' 국내 특허를 등록했다.

이 특허를 통해 개발된 두께 1.2㎜ 시트는 1200℃ 이상의 화염 시험에서 30분 이상 견뎠다. 화염을 가한 시트 반대 면의 온도는 700℃를 넘지 않는 것으로 알려졌다. 화염 시험 후 시트 소재에 용융, 흐름 및 천공이 생기지도 않았다.

본격적으로 시트가 양산될 경우 열폭주 현상을 지연해 향후 발생할 화재 확산을 늦추는 데 큰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해당 시트는 신진에스엠(지분율 60%)과 에스플러스컴텍(지분율 40%)이 공동투자해 설립한 신진머트리얼즈에서 맡아 양산할 계획이다.

김준형 빅데이터뉴스 기자 kjh@thebigdata.co.kr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제공된 정보에 의한 투자결과에 대한 법적인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저작권자 © 빅데이터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